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58

복지용어, 장애인 복지시설 용어 해설 복지용어, 장애인 복지시설 용어 해설 복지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사람에겐 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조건이 우선 충족되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범국민적인 복지서비스도 있지만 대부분 특정 계층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지원하기 때문에 그러한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따져볼 때 사용되는 용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그런 면에서 복지용어와 장애인 복지시설 용어를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은 자료를 찾게 되어 알려주고자 한다. 원 출처는 경상남도장애인가족지원센터와 경상남도발달장애인지원센터가 공동으로 제작한 '2018년 경상남도 장애인 복지 안내' 책자(pdf 기준 11~12 페이지)이다. [출처 : 2018년 경상남도 장애인 복지 안내 다운로드 바로가기] 다만 2018년도 자료이기 때문에 법 개정에 따른 최신화는 이뤄지지 .. 2020. 3. 25.
[오늘의 한끼]소시지계란볶음밥 [오늘의 한끼]소시지계란볶음밥 허기진 배를 부여잡고 퇴근하니 아무도 집에 없어서 혼자 밥을 챙겨먹어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마침 밥과 재료들이 있어서 급한 대로 볶음밥을 만들어먹기로 했다. 이 볶음밥은 카라멜라이징한 양파가 들어갔고, 필자가 자주 먹는 볶음밥 재료에 소시지를 가미하고 설탕은 뺀 버전이다. 재료 : 소시지 4개, 계란 2개, 식용유 3~4큰술, 간장 2큰술, 밥 1.5공기, 카라멜라이징 양파 2덩이(약 100g) 순서 : 1. 후라이팬에 식용유를 2큰술을 두른 후, 계란을 2개 볶는다. 2. 볶은 계란은 살짝 익혀질 정도로만 볶고, 따로 접시에 담아 놓는다. 3. 식용유 2큰술을 다시 후라이팬에 넣고 간장 2큰술과 카라멜라이징 양파 2덩이를 넣고 볶는다. - 냉동실에서 갓 나온 카라멜라이징.. 2020. 3. 24.
장애인 건강 주치의 제도 안내 장애인 건강 주치의 제도 안내 보건복지부는 장애인의 건강한 삶을 위해 장애인 건강 주치의 제도를 시범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장애인 건강 주치의 제도는 2019년까지 1차적으로 시범 운영되었고, 2020년부터 미비점을 보완하여 2차 시범사업으로 운영하겠다고 보건복지부장관은 밝혔다. 장애인이 장애인 건강 주치의 제도를 이용할 경우 어떤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다.장애인 건강 주치의란?장애인 건강 주치의는 장애인 건강 주치의 교육을 수료 후 장애인 건강 주치의로 등록한 의사를 말한다. 장애인 건강 주치의는 서비스 유형에 따라 일반건강관리, 주장애관리, 통합관리 건강 주치의로 나눠진다.장애인 건강 주치의 서비스 대상장애인 건강 주치의 서비스는 장애인 건강권 및 의료접근성 보장에 관한 법률(장애인.. 2020. 3. 19.
장애친화 건강검진이란 장애친화 건강검진이란 2017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수검률에 따르면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건강검진 수검율이 12% 가량 적다. 이러한 차이가 나는 이유는 건강검진에 대한 인지 부족, 건강검진기관 접근성 어려움, 장애에 따른 맞춤형 건강검진 시설 및 장비 부족 등이 있을 수 있다. 장애인과 비장애인 간의 건강검진 수검률 격차를 줄이고, 건강검진을 통한 장애인의 건강권 확보를 위해 정부에서는 장애친화 건강검진이란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장애친화 건강검진 장애친화 건강검진은 장애인이 편리하게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장애특성을 고려한 건강검진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장애에 따라 건강검진을 받기 위해 뒷받침되어야 할 환경, 인력, 기구 등을 제공하여 장애인도 비장애인처럼 무리 없이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 2020. 3.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