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투자, 주식관련

쏠리드 주가 알아보기

by 꿀팁 정보 이슈 모음 2020. 8. 7.

2020년 8월 7일(금) 쏠리드의 주가가 전일 대비 1,800원 가량 상승한 9,900원대에 머무르고 있다. 이는 20% 이상 상승한 수치로서 5G 장비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으로 20%대의 강세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쏠리드의 주가가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 궁금한 투자자들이 더러 있을 것으로 공감하며 이번 글을 통해 쏠리드의 주가흐름 전망과 투자에 참고할만한 정보들을 얻어가길 바란다. 쏠리드가 2020년 분기별 실적을 꾸준히 좋게 가져간다면 앞으로 추가 상승할 여력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PER, PBR, ROE, EV/EBITDA, 부채비율

2019년 12월 기준으로

쏠리드의 PER은 48.32, PBR은 2.29, ROE는 4.97%이다.

EV/EBITDA는 76.90, 부채비율은 129.52%이다.

(참고자료 : 네이버 금융)

쏠리드의 PER 변화추이

쏠리드의 PBR 변화추이

쏠리드의 ROE 변화추이

쏠리드의 EV/EBITDA 변화추이

쏠리드의 부채비율 변화추이

쏠리드의 투자지표는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편이다. 2018년 PER이 17.41까지 내려갔는가 하면 그 다음 해엔 다시 세 배 가까이 상승했다. 부채비율을 제외한 모든 수치가 상승세에 있다. 부채비율은 2016년, 2017년도에 200%를 넘겼으나 다시 100%대로 안정화되고 있다. 투자지표로 볼 때 쏠리드에 대한 매력적인 수치는 나타나지 않는다. ROE가 2016년과 2017년에 적자를 봤으나 다시 플러스로 돌아선 게 그나마 낙관적이라 할 수 있겠다.

용어 및 평가 기준은 아래 내용을 참고했다.

주식분석용어 및 기준

 

주식분석용어 및 기준

*PER(주가수익률) = 주가 / 1주당 순이익(EPS)  *PBR(주가순자산비율) = 주가 / 1주당 순자산가치(BPS)  *ROE(자기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 / 자본총액 = PBR / PER  - PER은 10 이하일 경우 ..

platform-1.tistory.com

주가 변동성

쏠리드의 3년 동안의 주가는 변동성이 있는 편이다. 추세로 보자면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52주 동안 최저 4,000원까지 내려갔다가 최고는 9,380원까지 찍었다. 상한가는 10,550원까지 도달했었다.

장기 경제성

 

쏠리드는 1998년 11월에 설립되었고 업종은 이동통신 및 유선통신 관련 네트워크 장비 제조 및 개발이다. 국내 이동통신 3사(SKT, KT, LGU+) 모두를 고객으로 확보하고 있고 DAS(Distributed Antenna System) 해외수출은 2026년까지 꾸준한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쏠리드의 DAS 소개내용(출처 : 솔리드 홈페이지)

쏠리드의 제품은 DAS 외에도 ICS/RF, METRO, ACCEsS 및 TICN이 있다. 2019년 보다 이동통신사의 5G 커버리지 투자가 증가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쏠리드의 매출 증대도 기대된다.

경영진

쏠리드의 대표이사는 정준, 이승희이다. 

정준은 서울대 전자공학 학사를 거쳐 스탠퍼드대학교 대학원 전자공학 박사를 수료했다. 1993년에 히타치 중앙연구소 객원연구원을 시작하여 KT 연구개발본부 선임연구원으로 수행했고 1998년부터 쏠리드의 대표이사로 재직 중이다. 정준은 2014년부터 한국공학한림원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는 벤처기업협회 명예회장직도 맡고 있다.

이승희 대표는 고려대 전자공학과 졸업 후 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에서 전자공학 박사학위를 수료했다. 이후 삼성종합기술원 광소자연구실 선임연구원 등을 거친 후 쏠리드 창립멤버로 합류했다.

쏠리드는 정준 단독 대표이사 체제에서 벗어나 2009년 2월부터 정준, 이승희 각자 대표이사 체제로 탈바꿈했다. 두 대표가 모두 전자공학 전문가로 통하기 때문에 그 전에 있었던 시장침체도 극복할 수 있었다고 한다. 정준은 신규사업, 이승희는 글로벌사업 방면으로 역할을 분담했었다.

정준은 2019년 12월 기준 9.32%의 지분을 가진 최대주주이며, 이승희는 2.82%로 두번째 최대주주이다.

경쟁사 재무지표 비교

쏠리드의 경쟁사는 케이엠더블유, 서진시스템, 유비쿼스홀딩스 및 RFHIC로 확인되었다. 쏠리드의 매출액 증감률은 경쟁사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케이엠더블유와 더불어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2019년 12월 기준 영업이익률은 12%로 시장전망치 대비 약 2.5%p 높게 발표되었다. 

쏠리드 및 경쟁사 성장률 비교(출처 : 한국경제)

종합평가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참고만 하길 바란다.

투자지표로 본 쏠리드의 전망은 아직 긍정적인 편은 아니나 디지털 뉴딜 수혜 등으로 현재 주가는 상승세를 타고 있다. 분기별 실적이 전년도 대비 계속해서 상승하는 결과치를 보여준다면 향후 추가적인 상승 여력도 있으리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