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투자, 주식관련

KODEX(코덱스) 코스닥150 레버리지(233740) 알아보기

by 꿀팁 정보 이슈 모음 2020. 7. 28.

주식투자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 개별 종목을 분석해서 매수하는 방법도 있고, 주가지수(index)에 투자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중 주가지수에 투자하는 방법으로 인덱스 펀드(index fund)와 ETF가 있는데 인덱스 펀드와 ETF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한번 참조해보길 바란다. 간단히 비교하자면 ETF는 개인이 직접 사고팔수 있는 인덱스펀드로 수수료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인덱스 펀드와 ETF 차이점 6가지 보러가기

오늘 소개할 내용은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ETF인데, 처음 접해보는 이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게 다가올 것이라 공감한다. 그래서 상품명 분석과 상품개요, 구성종목 등에 대해 알아볼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다. 결론적으로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는 아직 진입하기에 나쁘지 않다는 판단이다.

 

상품명 풀이

ETF는 그 이름 안에 상품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KODEX'는 자산운용사의 브랜드를 나타낸다. 자산운용사는 대표적으로 12개 회사가 있는데 그중 KODEX는 삼성자산운용사에서 내놓은 상품이란 뜻이다.

다른 기관에서 내 놓은 상품은 KINDEX, KOSEF, ARIRANG 등으로 다르게 표기되니 더 궁금한 사항은 아래 글을 참조하길 바란다. 

ETF 상품명 이해하기

'코스닥150 레버리지'는 한국거래소의 코스닥150 지수를 추종하되 1% 상승시 2%의 수익을 추구하는 전략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뒤에 붙은 233740 주식과 마찬가지로 종목번호를 뜻한다.

상품개요 풀이

기초지수는 코스닥 150이며, 최초설정일은 2015년 12월 16일이며, 다음날 2015년 12월 17일에 상장했다.

총보수는 0.640%(지정참가회사 0.050% + 집합투자 0.550% + 신탁 0.020% + 일반사무 0.020%)로 1,000만원을 1년동안 투자 시 투자자가 부담하는 비용은 대략 67,000원이다.

투자비용 안내(출처 : 삼성자산운용)

분배금기준일은 투자신탁회계기간종료일이며 최근 3년 분배금 지급현황은 없다(미지급). 

유동성공급자(LP)는 DB금투, 이베스트, 신한투자, 대신증권, 미래에셋대우, 유진증권, 메리츠, NH투자증권, KB증권, SK증권, 하이증권, 키움증권, 삼성증권 및 한국증권이다. 유동성공급자(LP)는 매수, 매도 물량에 호가를 걸어둠으로 물량이 없어서 원하는 가격에 매수, 매도를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상품개요

구성종목 알아보기

구성종목 상위 10개 종목은 TIGER 코스닥150, KODEX 코스닥 150, KBSTAR 코스닥150, HANARO 코스닥150, CMG제약, 셀트리온헬스케어, SFA반도체, 국일제지, 텔콘RF제약, 신라젠이다.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CU당 구성종목

나머지 구성종목 더 알아보기

순자산가치(NAV)와 괴리율

 

순자산가치(NAV, Net Asset Value)는 해당 펀드가 자산에서 운용보수 등을 차감한 순자산총액을 ETF 주식 수로 나눈 값이며, 이 순자산가치와 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ETF 가격의 차이가 괴리율(Disparate ratio)이다.

괴리율 = {(시장가격 - 순자산가치)/순자산가치} x 100

2020년 7월 27일(월) 기준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의 순자산가치(NAV)는 12,001.19이며, ETF 종가는 11,845, 괴리율은 -1.3%이다. 괴리율이 마이너스인 것은 순자산가치보다 가격이 낮게 형성되어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저평가로 해석할 수 있다.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 순자산가치(NAV) 추이

추적오차(tracking error)와 수익률

KODEX 코스닥150 레버리지의 추적오차(tracking error)는 2020년 7월 28일(화) 기준 최근 3개월 4.94%로 나타났다. 추적오차는 기초지수와의 차이가 얼마나 흩어져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로 추적오차가 낮을수록 잘 운용되고 있는 ETF라 할 수 있다. 

수익률은 최근 1개월, 3개월, 6개월 및 1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2020년 7월 28일(화) 기준 최근 1개월의 수익률은 4.94%이다.

종합평가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참고만 하길 바란다.

아직까지 진입할 여지가 남아있는 듯하다. ETF 특성상 다수의 종목에 분산투자하는 것이기에 큰 수익을 바랄 순 없겠지만 안정적으로 가져가기엔 적합하다. 수익률이 하향하는 추세를 지켜보고 매수, 매도 타이밍을 노려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