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로그/투자, 주식관련

초록뱀 주가 관련정보(BTS, 방탄, 초록하늘 드라마)

by 꿀팁 정보 이슈 모음 2020. 9. 8.

9월 8일(화) 초록뱀이 전일대비 540원(29.92%) 상승한 주가로 장을 마감하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초록뱀은 어떤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인지, 상승하게 된 요인은 뭔지 등에 대해 궁금한 분들이 더러 있을 거라 공감한다.

이번 글을 통해서 초록뱀 회사와 주가 상승 배경 및 투자지표 등에 대해 참고할만한 정보를 얻어갈 수 있을 것이다. 최대주주 변경, BTS 이슈 등으로 한차례 주가가 올랐지만 투자지표로 볼 때 장기적으로 상승세를 가져갈지는 의문이다.

초록뱀 회사 알아보기

초록뱀은 컨텐츠 제작사업과 드라마 컨텐츠를 기반으로 각종 부가사업 및 부동산사업을 하는 기업이다. 초록뱀으로 2002년 12월 24일 상장되었고 사명은 초록뱀미디어이다. 

초록뱀은 1998년 설립 이후 부직포사업 등을 영위했었으나 2008년 부직포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한 뒤 TV 프로그램 제작 및 배급에 전념하고 있다.

초록뱀이 제작에 참여한 드라마(출처 : 위키백과)

드라마를 주력으로 제작했지만 2011년부터 2016년까진 예능 프로그램인 'K팝 스타 1'부터 'K팝 스타 6 더 라스트 찬스'를 제작한 이력이 있다. 2009년에는 일지매란 애니메이션도 제작했었다. 

초록뱀 제작 애니메이션 일지매

초록뱀 주가 상승 배경

초록뱀의 대주주가 9월 7일(월) 뉴원글로벌조합에서 스카이이앤엠으로 변경되면서 투자자들의 기대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9월 8일(화) 스카이이앤엠 주가 변동추이

스카이이앤엠의 주가도 금일 12% 이상의 상승을 보였다. 스카이이앤엠은 화학제조와 엔터테인먼트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데 사업다각화를 통해 위험 분산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초록뱀은 BTS(방탄소년단)의 학창시절과 데뷔까지의 과정을 다룬 드라마 '푸른하늘'을 제작하고 있다. BTS가 최근에 빌보드 차트 1위를 달성하고, 군 입대 연기 가능성까지 내비치면서 초록뱀 주가 상승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줬다고 본다.

PER, PBR, ROE, EV/EBITDA, 부채비율

2019년 12월 기준으로 

초록뱀의 PER은 17.27, PBR은 1.39, ROE는 8.35%이다. 

EV/EBITDA는 70.08, 부채비율은 72.29%이다.

(참고자료 : 네이버 금융)

초록뱀의 PBR 변화추이

초록뱀의 ROE 변화추이

초록뱀의 EV/EBITDA 변화추이

초록뱀의 부채비율 변화추이

초록뱀의 EV/EBITDA 값은 오르는 추세를 보이고 있고, 다른 지표는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PBR이 하락하는 추세는 긍정적인 편이지만 ROE가 2017년, 2018년 두 해동안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달갑지 않은 모습이다. 부채비율은 적정 선을 유지하고 있다. 

용어 및 평가 기준은 아래 내용을 참고했다.

주식분석용어 및 기준

 

주식분석용어 및 기준(PER, PBR, ROE, EV/EBITDA, 부채비율)

PER(주가수익률) = 주가 / 1주당 순이익(EPS)   - PER은 10 이하일 경우 저평가 PBR(주가순자산비율) = 주가 / 1주당 순자산가치(BPS)   - PBR은 1 이하일 경우 저평가 ROE(자기자본이익..

platform-1.tistory.com

기업실적분석 및 동일업종비교

2020년 1, 2분기 영업이익은 모두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하반기에 영업적자를 만회할 만큼의 실적을 보여줄 수 있을지 추이가 주목된다.

방송과엔터테인먼트 업종에서 초록뱀의 경쟁사는 CJ ENM, 스튜디오드래곤, JYP Ent. 및 와이지엔터테인먼트로 나타났다. 스튜디오드래곤을 제외한 나머지 업종이 모두 상승세로 마감했음을 알 수 있다. 초록뱀의 시가총액은 가장 낮은 규모를 나타내고 있으며 영업이익도 혼자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좋지 않은 지표를 보여주고 있다.

종합평가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참고만 하길 바란다.

여러 호재로 인해 초록뱀의 주가가 상승했으나 투자지표 등을 볼 때 장기적으로 경쟁력이 있는지 의문이 드는 점이 몇 군데 발견되었다. BTS 및 엔터테인먼트와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기에 앞으로 나올 뉴스, 공시에 계속해서 상당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