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곡어법 유피미즘(Euphemism)
한국어에서도 변소를 변소라 부르지 않고 화장실, 해우소 등으로 부르는 것처럼, 듣는 사람이 감정이 상하지 않도록 부드러운 용어를 쓰는 표현법을 유피미즘(Euphemism, 완곡어법, 완곡어)이라 한다.
중앙일보 기사에서 소개된 영어의 완곡어법 몇 가지를 한번 나열해보고자 한다.
유피미즘은 예절이다.
dictatorship(독재) → authoritarianism(권위주의)
die(죽다) → pass away, be no longer with us(돌아가다, 별세하다, 운명하다, 서거하다)
toilet(변소) → restroom, bathroom, washroom, lavatory, latrine(화장실, 단장실, 해우소)
유피미즘은 높임말이다.
businessman(장사꾼, 장사치) → entrepreneur(기업인, 기업가)
politician(정치꾼) → statesman(정치인, 정치가, 경세가)
유피미즘은 동의어, 유의어이다.
rich(부유한) - well-to-do, well-off, wealthy, affluent
poor country(빈국) - developing country(개발도상국)
boss(상관) - supervisor
유피미즘은 맥락이다.
(평가서, 추천서를 쓸 경우) lazy(게으른) → unmotivated(동기 부여가 되지 않은)
(평가서, 추천서를 쓸 경우) selfish(이기적인) → self-centered(자기중심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