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 관련 주가 일제히 상승하는 국면을 보이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이 여전히 뜨겁다. 신일제약은 2020년 7월 20일(월) 26,500원에 거래를 마쳤지만, 7월 21일(화) 오후에 30% 상승한 주가를 유지하고 있다. 급격한 상승으로 인해 신일제약은 투자주의종목으로 분류된 상태다.
영국 옥스포드 연구팀에서 코로나19 환자에게 덱사메타손을 투여한 결과 사망위험이 줄어들었고, 덱사메타손 주사제 및 정제를 보유하고 있는 신일제약, 부광약품, 대원제약 등의 관련 주가가 급등하는 유인으로 작용했다.
신일제약이 앞으로도 주가가 상승할지, 투자하기에 안전한지 등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필요한 것에 대해 공감하고 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을 통해 신일제약에 대해 나름대로 분석한 자료를 제공할 것이고, 이는 투자 방향을 결정하는 데에 도움이 되리라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신일제약은 현재 투자할 가치가 어느정도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오너리스크 완화 및 수익성 향상이 뒷받침된다면 더욱 좋을 것이다.
PER, PBR, ROE, EV/EBITDA, 부채비율
2019년 12월 기준으로
신일제약의 PER은 10.74, PBR은 0.74, ROE는 7.39%이다.
EV/EBITDA는 5.23, 부채비율은 16.39%이다.
(참고자료 : 다음 금융 투자지표)
종목 상세 | 다음 금융
finance.daum.net
신일제약의 PER 변화추이
신일제약의 PBR 변화추이
신일제약의 ROE 변화추이
신일제약의 EV/EBITDA 변화추이
신일제약의 부채비율 변화추이
신일제약의 가치지표는 상당히 매력적이다. PER, PBR, EV/EBITDA 모두 하향하는 추세선을 가지고 있고, 저평가 주식의 가늠자인 PER 10 이하, PBR 1 이하, EV/EBITDA 6.5 이하 세 조건 중 두 조건을 만족한다. ROE가 낮아지는 추세는 아쉬운 부분이긴 하지만 부채비율 또한 안정적인 범위 내에 속해 있다.
용어 및 평가 기준은 아래 글을 참고했다.
주식분석용어 및 기준
*PER(주가수익률) = 주가 / 1주당 순이익(EPS) *PBR(주가순자산비율) = 주가 / 1주당 순자산가치(BPS) *ROE(자기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 / 자본총액 = PBR / PER - PER은 10 이하일 경우 ..
platform-1.tistory.com
주가 변동성
신일제약은 다른 제약관련주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가 터지기 이전에는 평행에 가까운 변동성을 보였다. 코로나 이후 한번 급등한 후 주춤하다가 다시 수직에 가까운 상승률을 보이고 있다. 코로나19로 기존의 주주들은 수혜를 입었지만 이제 진입하기에는 다소 염려되는 부분이 있으며 주가 변동성은 높은 상태이다.
장기 경제성
신일제약은 1971년에 설립되었고, 의약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으로 하고 있는 기업이다. 사업부는 영업, CMO(Cont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ODM(Original Development Manufacturing), 무역 및 신사업 부문이 있다.
신일제약의 베스트 상품으로 맥스케어프리미엄정(혼합비타민제), 디펜플라스타(진통, 소염제), 맥스케어알파정(혼합비타민제)가 있다.
의약품 외에도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의약외품 등을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치료제로 주목받고 있는 신일덱사메타손정은 내분비 장애, 류마티스성 장애, 교원성 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
신일제약에 대한 정보는 타 제약사에 비해 부족한 건 사실이지만 설립하고부터 안정적으로 기업을 운영한 것으로 파악된다. 코스닥 상장은 1999년에 이뤄졌다.
경영진
현재 신일제약의 대표이사는 홍재현으로 창립자 홍성소 회장의 장녀이다. 홍재현은 동덕여대 약대 출신으로 2000년부터 신일제약에서 근무했고 2016년 말에 전무에서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신일제약은 전형적인 오너중심 경영진 구축으로 오랫동안 명맥을 유지해왔고, 거래소가 제시한 재무구조 개선을 이뤄냄으로써 2019년도 5월 경 중견기업부에서 우량기업부로 발돋움했다.
경쟁사 재무지표 비교
신일제약의 제약 부문 경쟁사는 에이치엘사이언스, JW생명과학, 경동제약 및 에스씨엠생명과학으로 확인되었다. 신일제약은 자산 규모 면에서는 중간에 머무르고 있으며 PER, PBR가 경쟁사에 비해 낮다. 다만 ROE가 경쟁사 대비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므로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2020년 7월 21일 신일제약 펀더멘털 비교(출처 : 네이버 금융)
종합평가
*개인적인 의견이므로 참고만 하길 바란다.
신일제약의 가치지표는 상당히 매력적이므로, 투자할 여지가 충분히 있다. 다만, 오너가(家)중심 경영체제에 따른 오너리스크, 수익성 부분에선 유의할 필요가 있겠다.